목록Git (6)
Code IT
이전 포스팅에서 Git Repository 까지 만들었으니, 이번에는 Git Repository 를 Local 로 Clone 해서 작업을 해보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Subversion과 Git 간의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바로 소스를 내려받고 작업한 뒤 소스를 다시 Commit 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매우 달라요. 그래서 Subversion 만 사용해보신 분들이라면 Git 이 매우 생소하실 수 있습니다. 저도 처음엔 생소했었고, 잘 와닿지 않더라구요. ▲ Subversion 의 협업 방식 ▲ Git의 협업방식 위 그림에서 처럼 둘의 협업방식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 Subversion이 가지지 못한 장점도 있죠. 가령, 하나의 모듈을 개발할 때마다 한번씩 Commit을 했다고 가정한다면, Su..
GitHub 에서 소스를 공개할 "저장소" 를 생성합니다. 먼저 화면 우측 상단의 "+" 아이콘을 클릭 한 후 New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이 나타나면 Repository name, Description 을 작성합니다. Repository name 은 프로젝트의 이름입니다. 전 helloWorld 로 작성했습니다. Description 은 프로젝트의 설명인데요. 필수 값이 아니라서 작성하지 않아도 등록이 가능합니다. 그 다음은 프로젝트 소스를 공개할 것인지 공개하지 않을 것인지 선택하는데요. Public 은 공개할 때 선택하고 Private 은 공개하지 않을 때 선택합니다. Public은 무료지만 Private은 유료입니다. 그 다음 Initialize this repository ..
Git 은 저장소에 대한 접근 인증을 SSH Key로 합니다. 이 키를 생성하고 GitHub 에 등록을 해주어야 하지요. 먼저 SSH Key 를 생성합니다. 이전에 설치한 Git Bash 를 실행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작성해서 그림처럼 진행합니다. $ ssh-keygen -t rsa -C 'your_email@example.com' 이제 다음은 SSH Key를 등록할 차례입니다. 우선 Git Bash에서 아래 명령어를 작성해 공개키의 내용을 복사해주세요.$ cat ~/.ssh/id_rsa.pub 공개키의 내용복사는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위 그림처럼 하면 복사가 됩니다. 복사 한 후 메모장에 붙혀넣기 하고, 줄바꿈을 모두 지워 한줄로 만들어 주세요. 이제 GitHub 으로 접속합니다. Settings로 ..
이전 포스팅에서 설치한 Bash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실행됩니다. Git을 사용하기전에 기본적인 설정을 먼저 해야합니다. 1. 사용자 이름과 메일 주소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Firstname Last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example.com " 2. TextColor 설정 git config --global color.ui auto 기본설정이 끝났습니다. 간단하죠? 설정한 내용은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cat ~/.gitconfig
Git을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Bash 툴을 다운로드 합니다. 비밀키 만들기, 유저 만들기, Git과 연동하기 등의 기능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운로드 Download 를 클릭하신 후 파일을 받으시고 설치하실 때 Next... Next... 쭈우욱 하시면 됩니다.
이전에는 Subversion 이 참 많이 사용됐었습니다. 오로지 형상관리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었습니다. 좀 규모가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는 Subversion 을 쓰지않고 Perforce 라는 형상관리 툴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Subversion 보다는 활용용도가 더 넓은 것이 특징이지요. 그런데 요즘은 이런 툴들이 점점 고대 유물이 되어갑니다. 요즘 나오는 IDE 툴을 보면 Subverison 의 지원이 줄어드는 반면, Git 의 지원이 늘어나고 있지요.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났을까요. 초기 Google 은 OpenSource Project 를 지향하며 Google Code 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형상관리를 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해주었죠. 이 때문에 많은 유명한 Project 들이 이쪽으로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