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IT
#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나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값 혹은 처리의 결과를 담고있는 # 모든 변수에 있는 값을 특정 조건과 비교해 참/거짓판단에 따라 처리를 다르게 하는 것. # if 문에서 필요한 조건식이라는 것은 "논리연산"과 "비교연산"을 복합한 # 단순하거나 복잡한 조건식을 말한다. # 예컨데, value라는 변수의 값이 3 일때 이 값이 5보다 작은지를 비교하고 그렇다면, # "5보다 작습니다" 라는 것을 출력할 수 있다. value = 3 if value > 5 : print("5보다 작습니다.") else : print("5보다 큽니다.") # 위 문장에서 if는 value 변수의 값이 5 미만 일 경우 "5보다 작습니다." 를 출력하고, # 그렇지 않다면 "5보다 큽니다."를 출력하도록 하는..
# 함수는 한 작업의 묶음이다. 실생활의 예를 든다면 함수는 장보기 쯤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마트에서 장볼 물건들을 골라 계산대에서 캐셔에게 물건들을 전달하고, 캐셔는 물건들의 # 총 금액을 말하고 지불하기를 요구한다. 그리고 물건들의 금액을 지불하고 마트를 나선다. # 장을 보는 것은 1. 물건을 고른다. 2. 계산한다. 라는 작은 단위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놓은 것이다. # 파이썬의 함수도 마찬가지로 작은 단위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놓은 것을 말한다. # 파이썬의 함수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는 생략가능한 것을 말한다. # def (): # # # 안녕하세요 라는 문장을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def say_hello(): print("안녕하세요") say_hello() # ..
# bool 은 조건에 대한 참과 거짓을 나타낸다. # True, False라는 값을 가지며, 대소문자를 가린다. is_true = True is_false = False print(is_true, is_false) # bool은 주로 비교연산과 논리연산에 의해 결과가 도출된다. # 비교 연산자는 크다, 작다, 같다,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 다르다 가 있다. num_1 = 10 num_2 = 20 # 크다의 경우 ">"로 표현한다. is_valid_answer = num_1 > num_2 print("num_1 > num_2 : ", is_valid_answer) # 작다의 경우 "="로 표현한다. is_valid_answer = num_1 >= num_2 print("num_1 >= num_2 :..
# 파이썬에서 원시값을 가지는 일반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들은 모두 메모리를 공유한다. # 원시값을 가지는 일반 변수 a = 10 b = a print(a, b) a = 20 print(a, b) # 메모리를 가지는 객체 instance list_a = [1, 2, 3] list_b = list_a # 메모리 공유 print(list_a, list_b) list_a[0] = 9 # 메모리의 원소값 변경 print(list_a, list_b) # 객체의 메모리를 재할당 할 경우 메모리를 복사되지 않는다. list_c = [1, 2, 3] list_d = list_c print(list_c, list_d) list_c = [4, 5, 6] print(list_c, list_d) # 복사에는 얕은 복사(S..
# list, set, dict는 복합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 dict가 list를 가지거나, 반대로 list가 dict를 가질 수도 있다. # 당연하겠지만, set도 가질 수 있고, set 내에 set을 포함한 list, dict도 가질 수 있다. person = { "age": 40, "job": ["Developer", "Proffessor", "Manager"], "language": ("Java", "Python", "Node.js", "React", "Angular")} print(person)
# dict는 Key, Value가 쌍으로 구성되어 있음. # Java의 Map과 유사하다. dict_a = {"a": 1, "b": 3, "c": 5} print(dict_a) # 아래 dict_b 는 위 dict_a 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 dict_b = dict(a=1, b=3, c=5) print(dict_b) # dict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에는 dict[키] 를 사용한다. # dict는 배열이나 리스트처럼 인덱스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인덱스를 사용할 수 없다. print("dict_a[\"a\"] : ", str(dict_a["a"])) print("dict_a[\"b\"] : ", str(dict_a["b"])) print("dict_a[\"c\"] : ", str(dict_a["c"]..
# tuple은 읽기전용 리스트로 이해하면 편하다. # list에 비해 함수는 적지만, 속도는 매우 빠르다. (읽기전용이라서) tuple_1 = (1, 2, 3) print(tuple_1) # tuple은 Undestructor를 통해 각각의 값을 개별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v1, v2, v3 = tuple_1 print(v1, v2, v3) # Undestructor의 유용한 예 # 값 변경 values = ("A", "B") print(values) # (value_1, value_2) = values 이 코드는 아래 코드와 동일하다. value_1, value_2 = values values = (value_2, value_1) print(values) # 혹은 아래처럼 할 수 있다. num_1..
set_a = {1, 2, 3} set_b = {3, 4, 5} print(set_a) print(set_b) # set 데이터 구조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아래와 같은 데이터에서 두 번째 1(1번 인덱스)은 무시한다. set_duplicate = {1, 1, 2, 3} print(set_duplicate) # set 데이터 구조는 수학에서의 집합과 성격이 동일하다. # 합,교,차집합이 지원된다. # 합집합 print("합집합") union_set = set_a.union(set_b) print(set_a) print(set_b) print(union_set) print("교집합") intersection_set = set_b.intersection(set_a) print(set_a) print(..
# list는 값의 나열이다. 순서가 존재하며, 여러 종류의 값을 담을 수 있다. # 또한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0 부터 시작하는 인덱스가 존재하며, 슬라이싱도 가능하다. # 리스트 타입의 변수는 대괄호([])를 이용해 만들 수 있다. # 대괄호([])를 이용해 colors 리스트 변수를 만들었다. colors = ['red', 'green', 'gold'] print(colors) # 리스트에 값을 추가하려면 list변수.append(값) 을 사용한다. # list 변수에 .append를 사용하면 리스트 변수의 가장 끝 인덱스에 값이 추가된다. colors.append("blue") print(colors) # 만약, 가장 끝 인덱스가 아닌 처음이나 중간에 값을 넣으려면, insert(index, 값)을..
# 파이썬의 자료형 # 파이썬이 포함할 수 있는 수치형 ==> int, long, float, complex # 일반적인 숫자(10진수)는 int 로 취급한다. year = 2019 month = 1 print(year, month) # 2, 8, 16 진수는 특별한 리터럴이 존재한다. # 2진수 ==> 숫자 앞에 0b를 붙인다. binary_number = 0b11 print("2진수 11 : ", binary_number) # 8진수 ==> 숫자 앞에 0o를 붙인다. octa_number = 0o111 print("8 진수 111 : ", octa_number) # 16진수 ==> 숫자 앞에 0x를 붙인다. hexa_number = 0xffffff print("16 진수 ffffff : ", hexa..